본문 바로가기

해부학23

기저핵 대뇌피질은 피질 척수로와 피질 연수로를 통해 직접적으로 운동 기능에 영향을 주며, 소뇌와 기저핵은 대뇌피질을 조절하거나 하행 신경로를 통해 하부 운동 핵에 영향을 준다. 대뇌 피질 조절은 피질-퇴간-소뇌-시상-피질 순서로 또는 피질 - 기저핵 - 시상 - 피질을 연결하는 고리 형태의 희귀성 신경연결을 통해 완성된다. 이처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질병에 의해 소뇌나 기저핵이 손상당하면 현저히 다른 신경학적 결함을 나타낸다. 임상의들은 운동계를 추 체계와 추체외로계로 나눈다. 추체는 피질 연수로와 피질 척수로로 구성되어 있다. 추체외로계는 추체로계 이외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신경로를 포함하는데 기저핵, 뇌간과 척수를 연결시키는 신경로 등이 있다. 기저핵의 구조들 사이에는 수많은 상호연결이 있.. 2022. 12. 23.
소뇌 기능이상의 임상적 징후 소뇌의 기능이상에 대한 임상적 증상은 소뇌의 중앙부위에 생긴 병변으로 인한 결과와 외측 부위에 생긴 병변으로 인한 결과로 나눌 수 있다. 소뇌의 중앙 부위는 충부의 전부, 후부, 편엽 소절 엽 그리고 설상핵으로 구성된다. 보행장애는 양발을 넓게 벌리고 걷는다. 심한 체간 진전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뒤꿈치를 반대쪽 발의 발가락 앞쪽에 닿게 하면 똑바로 걷는 걸음이 어렵게 된다. 소뇌 중앙 부위에 질병이 생기면 사지에는 운동 실조증이 생기지 않으며 보행장애만 생긴다. 회전되거나 기울어진 머리 자세에서 머리는 회전되거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하지만 항상 기울어진 방향 쪽 소뇌에 병변이 있는 것은 아니다. 소뇌 때문에 생기는 안구 장애는 여러 가지인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자발적으로 생기는 눈동자.. 2022. 12. 23.
전정계 전정계는 양쪽 내의 안에 위치한 수용체, 수용체에서 중추신경계로 신호를 전달해 주는 8번 뇌 신경 섬유, 공간 내 머리의 위치와 운동을 분석하는 중추신경계로 되어 있다. 전 정계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눈, 머리, 몸 등을 조화롭게 하여 머리가 움직일 때 안구를 한 지점에 고정시켜 시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이라고도 하는 미로는 골미로와 막 미로로 구성되어 있다. 골미로는 측두골 안에 들어있는 여러 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골미로 속에는 얇은 막으로 된 관 모양의 막 미로가 있다. 골미로와 막 미로 사이는 외 림프액으로 채워져 있다. 그리고 막 미로는 내림프액으로 채워져 있으며, 막 미로 내측에는 전정계의 말초 수용체인 전정 모세포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막 미로 내측에는 전정계의 말초 수용.. 2022. 12. 23.
뇌교와 중뇌의 뇌신경 뇌교 안의 제4 뇌실 바닥에 있는 외전 신경핵으로부터 시작되는 외전신경은 눈의 외직근의 운동을 지배한다. 연수-교 접합부위 뇌간의 앞쪽으로 나온 이 신경은 후두개와 바닥의 두 경막층 사이로 진행하다가 해면동으로 들어간다. 해면동을 지난 다음 상안와열을 통과하여 안와 안으로 들어간다. 외전신경은 두개강 안에서 가장 긴 경로를 갖기 때문에 뇌간이나 두개강 내에서 자주 손상 당한다. 또한 어떤 원인에 의해 두개강 내의 압력이 증가되어 오래 지속적으로 눌렸을 때도 외전신경이 손상 당할 수 있다. 외전신경 기능이 완전히 소실되면 눈동자를 중앙선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릴 수 없게 되며 안정시에는 내직근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없어져서 눈동자는 내측으로 이동되어 내측사시가 생긴다. 사시는 두 눈동자의 축이 평행하.. 2022.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