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신경해부학

시각 경로의 정보처리

by drus 2022. 12. 23.

망막내 신경절 세포는 망막에 빛이 비춰지면 반응하는데 특히 망막의 특정부위에 빛의 촛점이 맞춰질 때 망막내 신경절 세포가 가장 잘 자극 받는다. 이런 영역을 신경절 세포의 수용 영역이라고 부르는데 빛의 자극 에대해 신경절 세포가 최대로 흥분하거나 억제되는 망막의 영역으로 정의 된다. 신경절 세포에는 두 종류의 세포가 있다. 신경절 세포처럼 외측 슬상체에 들어 있는 세포체도 작은 빛에 반응하며 수용 영역을 보이고 역시 산란된 빛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선조 피질 내 신경세포는 외측 슬상체에 들어있는 신경세포보다 복잡한 반응을 한다. 약한 빛은 신경학적 변화에 미미한 영향을 준다. 피질세포를 흥분 시킬 수 있으려면 광학적 비은 선상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선, 막대, 그 밖의 다른 형태이면서 경계가 뚜렷한 자극은 특별한 회전축을 가져야 한다. 시각피질의 기능적 구조는 시각 피질 표면으로부터 백색질까지 이어져 있는 신경의 좁은 수직기둥이 모여 이루어진다. 동일한 원주에 들어있는 신경세포들은 동일한 수용 영역에 대해 반응하는 특성을 갖으면 한쪽 눈에 가해진 자극에 의해서만 활성화 된다. 주변선조 피질내 신경들은 빛의 경계부에 반응을 하나 이들 신경세포 활성화에 필요한 자극은 선조신경세포 활성에 필요한 자극보다 훨씬 복잡하다. 시각정보는 여러 개의 흐름으로 분리되어 망막으로부터 선조 피질까지 전달된다. 소세포성 흐름은 소세포층으로 투사하는 망막 신경절 층의 소세포에서 시작되며 소 세포 층은 선조 피질로 투사한다. 소세포성 흐름을 받는 피질 신경 세포는 기능적으로 2가지 분류되는데 모양과 방향에 반응하는 것과 색깔에 반응하는 것이 있다. 시야는 자세히 검사할 수 있다.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도 시야를 측정할 수 있다. 환자가 시선을 고정하게 하고 검사자는 고정된 환자의 눈 앞에 얼굴을 마주 대한다. 환자에게 한쪽 눈을 감게 하고 한번에 한쪽 눈 씩 검사를 한다. 보통 4mm 흰 공을 사용하는데 검사자는 환자와 검사자 사이의 중간 지점에 흰 공을 놓고 시야 밖으로부터 중심 시야 쪽으로 천천히 대상물체를 움직인다. 관례적으로 시야는 환자의 관점에서 그려야 한다. 환자로 하여금 한쪽 눈을 감고 검사자의 눈에 초점을 맞추게 한 다음 각 시각 사분면에서 검지를 빠르게 움직인 다음 한자에게 움직임을 부면 말하도록 시킨다. 또한 검사자는 각 시각 사분면에 1~3개의 손가락을 펴고 환자로 하여금 펴진 손가락 숫자를 말하게 한다. 양쪽 시신경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면 양쪽 시야가 줄어 들거나 양쪽 눈에서 중시 시력 상실이 나타난다. 환자들은 장애물에 걸려 넘어지는 법이 없으며 시야를 반복적으로 측정하면 측정할 때마다 다른 결과가 나온다. 시신경이 완전히 손상 받으면 실명이 생긴다. 시신경에 생긴 어떤 질환은 일부시신경 섬유에 손상을 주지만 나머지는 손상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실명은 되지 않고 보통 각 눈의 중심 시야나 주변 시야에서 시야결손 영역이 나타난다. 뇌하수체 종양이나 두개 인두종은 시신경 교차점 중간 부분에 병변을 만든다. 이때 교차하는 시신경 섬유가 손상 받기 때문에 각 망막의 코 쪽 절반으로부터 오는 시각 신호가 차단된다. 그 결과 왼 눈은 왼쪽 시야의 상을 감지하지 못하며 오른쪽 눈은 오른쪽 시야를 감지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를 양측성 반맹 이라 부른다. 빈맹 이란 용어는 시각영역의 빈 쪽  소실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시삭의 병변은 각 망막의 한쪽 반으로부터 오는 섬유를 차단하며 만일 우주 시삭이 파괴 되면 양쪽 망막 우측 절만으로 받아들이는 시야나 왼쪽 시야가 결손 된 것을 말한다. 시삭의 병변은 각 망막의 한쪽 반으로부터 오는 섬유를 차단 하며 만일 우측 시삭이 파괴되면 양쪽 망막 우측 절반으로 받아들이는 시야에 결손이 나타난다. 그 결과로 좌측 시야결손이 생기며 이런 상태를 좌측 동측 반맹이 라고 부른다. 우측 후두엽 시가기질 전체를 손상시킨 병변도 좌측 동측 반맹을 생기게 한다. 기능이 남아 있는 손상 받지 않은 시야는 보존되고 환자는 자신이 반맹 상태인지 모른다. 후두엽에 작은 병변이 생기면 반쪽 시야 결손이 생긴 부위 중 중심 시야는 보존되는 황반 보존이 나타난다. 황반 보존이 일어난 원인

'해부학 > 신경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상하부와 변연계 기능  (0) 2022.12.25
시상하부와 변연계  (0) 2022.12.24
기저핵  (0) 2022.12.23
소뇌 기능이상의 임상적 징후  (0) 2022.12.23
전정계  (0) 2022.12.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