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신경해부학12

소뇌 기능이상의 임상적 징후 소뇌의 기능이상에 대한 임상적 증상은 소뇌의 중앙부위에 생긴 병변으로 인한 결과와 외측 부위에 생긴 병변으로 인한 결과로 나눌 수 있다. 소뇌의 중앙 부위는 충부의 전부, 후부, 편엽 소절 엽 그리고 설상핵으로 구성된다. 보행장애는 양발을 넓게 벌리고 걷는다. 심한 체간 진전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뒤꿈치를 반대쪽 발의 발가락 앞쪽에 닿게 하면 똑바로 걷는 걸음이 어렵게 된다. 소뇌 중앙 부위에 질병이 생기면 사지에는 운동 실조증이 생기지 않으며 보행장애만 생긴다. 회전되거나 기울어진 머리 자세에서 머리는 회전되거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하지만 항상 기울어진 방향 쪽 소뇌에 병변이 있는 것은 아니다. 소뇌 때문에 생기는 안구 장애는 여러 가지인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자발적으로 생기는 눈동자.. 2022. 12. 23.
전정계 전정계는 양쪽 내의 안에 위치한 수용체, 수용체에서 중추신경계로 신호를 전달해 주는 8번 뇌 신경 섬유, 공간 내 머리의 위치와 운동을 분석하는 중추신경계로 되어 있다. 전 정계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눈, 머리, 몸 등을 조화롭게 하여 머리가 움직일 때 안구를 한 지점에 고정시켜 시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이라고도 하는 미로는 골미로와 막 미로로 구성되어 있다. 골미로는 측두골 안에 들어있는 여러 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골미로 속에는 얇은 막으로 된 관 모양의 막 미로가 있다. 골미로와 막 미로 사이는 외 림프액으로 채워져 있다. 그리고 막 미로는 내림프액으로 채워져 있으며, 막 미로 내측에는 전정계의 말초 수용체인 전정 모세포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막 미로 내측에는 전정계의 말초 수용.. 2022. 12. 23.
뇌교와 중뇌의 뇌신경 뇌교 안의 제4 뇌실 바닥에 있는 외전 신경핵으로부터 시작되는 외전신경은 눈의 외직근의 운동을 지배한다. 연수-교 접합부위 뇌간의 앞쪽으로 나온 이 신경은 후두개와 바닥의 두 경막층 사이로 진행하다가 해면동으로 들어간다. 해면동을 지난 다음 상안와열을 통과하여 안와 안으로 들어간다. 외전신경은 두개강 안에서 가장 긴 경로를 갖기 때문에 뇌간이나 두개강 내에서 자주 손상 당한다. 또한 어떤 원인에 의해 두개강 내의 압력이 증가되어 오래 지속적으로 눌렸을 때도 외전신경이 손상 당할 수 있다. 외전신경 기능이 완전히 소실되면 눈동자를 중앙선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릴 수 없게 되며 안정시에는 내직근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없어져서 눈동자는 내측으로 이동되어 내측사시가 생긴다. 사시는 두 눈동자의 축이 평행하.. 2022. 12. 22.
미주신경계 안면신경근의 두 분지 중에서 작은 것인 중간신경은 연수와 교의 경계부에서 뇌간 밖으로 나온다. 이 신경은 내이도로 들어가고 중이강의 내측 벽 쪽을 향해 안면관의 외측으로 진행한다. 감각 신경절은 안면관이 급하게 꺾이는 부위에 있는 안면신경의 외슬에 있다. 이 신경절에는 중간신경에 들어있는 미각 신경섬유의 신경세포체가 들어있다. 부교감 절전 신경섬유들은 이 감각신경절을 그냥 지나친 다음 더 말초에 잇는 자율신경절에서 연접한다. 몇몇의 말초 신경섬유들은 안면신경의 외측 슬로부터 익돌구개 신경절까지 대 천추신경으로 진행한다. 나머지 미각 전달섬유와 부교감신경의 신경섬유들은 안면관을 통해 하행하는데 고실강 에서 고삭신경이라는 분지를 낸다. 고삭신경은 추체 고실 열의 내측 끝에서 중이를 떠난 후 근육 사이로 내려.. 2022.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