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신경해부학

연수의 뇌신경

by drus 2022. 12. 22.

설하 신경은 혀의 운동을 지배하는 신경이다. 설하 신경의 신경섬유는 설하 신경핵에 있는 운동신경 세포체로부터 나온다. 설하 신경핵은 전체 연수에 걸쳐 있는데 제4 뇌실 바로 아래의 중앙부에 종으로 된 기둥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신경 세포체들의 축삭은 가느다란 여러 개의 가지형태로 추체와 올리브 사이를 지나 뇌간 밖으로 나온다. 설하 신경에 의해 지배되는 근육 중에는 혀를 앞으로 내미는 악설근이 있다. 한쪽 악설근만 작용하면 혀를 내밀 때 반대쪽으로 휘게 된다. 한쪽 설하 신경이 손상되면 동측 혀 근육의 마비와 위축이 생긴다. 이때 수의적으로 혀를 내밀면 혀는 마비된 쪽으로 휘게 된다. 부신경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부신경의 척수근은 경추2에서 경추5까지의 척수 전각세포에서 시작되어 여러 개의 신경세근 형태로 척수를 빠져나와 척수 측면에서 모여 신경을 형성한 대 후두공을 통해 상행하여 연수의 측면을 따라 진행한다. 이곳에서는 연수에서 나오는 부신경의 신경들과 합쳐진다. 짧은 거리만 함께 진행한 다음 다시 척수와 연수의 신경은 분리된다. 연수에서 기원한 부신경 섬유는 미주신경과 합쳐져서 후두의 근육을 지배한다. 척수에서 기원한 부신경은 경 정맥 공을 통과 목으로 내려와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을 지배한다. 부신경이 손상되면 흉쇄유돌근이 마비되는데 반대편으로 머리를 돌리기가 어려워진다. 상부 승모근이 마비되면 견갑골 상부가 아래쪽, 바깥쪽으로 회전되며 견갑골이 아래로 쳐지게 되고 어깨를 "으쓱" 하고 올리기 어려워진다. 연수와 뇌교의 뇌신경 중 4개 뇌신경의 핵은 배치와 기능적으로 아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뇌신경은 안면신경의 감각신경, 부교감 신경섬유가 들어있는 중간신경, 설인신경, 미주신경, 부신경의 뇌 부분이다. 이 뇌신경들을 통합적으로 미주신경계라 부른다. 미주신경계는 특수 내장 운동신경섬유, 부교감 신경 절전 신경섬유, 그리고 감각 신경섬유들을 포함 하지만 이 섬유들은 척수 신경 에서처럼 전근과 후근으로 분리되어 있지는 않다. 모든 신경섬유는 감람 뒤쪽에 종으로 배열된 세근의 형태로 연수를 빠져나오거나 들어간다. 위에서 거론된 네 신경들은 신경섬유를 내고 받아들이는 세 가지의 기두 모양 핵과 연관되는데 연수에 있는 특수 내장운동 신경의 기둥 모양 핵인 의핵, 타액핵과 미주신경의 배측 운동 핵으로 이루어진 부교감신경 절전 핵, 내장 감각 핵인 고립 핵이다. 의핵에 들어있는 신경세포들은 하위 운동신경원이다. 이들은 설인 신경과 미주신경, 부신경으로 축삭을 보내고 연구개, 인두, 후두 근육의 운동을 지배한다. 경골 인두근을 지배하는 설인신경의 가지를 제외한 모든 의핵의 운동신경 섬유들은 미주신경을 통해 진행한다. 또한 의핵은 미주신경을 통해 심장에 도달하는 신경섬유를 내고 이 신경들은 경동맥동 반사를 통해 심장의 박동이 느려지게 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한쪽 미주신경이 손상되면 재채기가 안 나오고, 가슴이 답답하며 연하곤란 등이 생긴다. 점액은 인두에 모아져서 후두 안으로 흘러 들어간다. 손상된 쪽 구개는 아래로 늘어지게 된다. 발성 시 정상 부위 족 연구개는 올라가고 목젖은 정상 부위 쪽으로 틀어진다. 양쪽 미주신경이 손상되면 연하곤란, 삼킬 때 음식물이 비강으로 역류, 언어장애, 비음, 코 골이, 입으로 호흡하는 경향, 비강내의 점액질을 인두로 삼키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 등의 증상이 생긴다. 후두를 지배하는 신경가지 중 하나가 갑상선 수술 중 부주의로 손상 받았을 때는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쉰 목소리를 내게 된다. 양쪽 후두신경 마비는 천명과 호흡곤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기관지 절개술이 시행되야 한다. 연수에 있는 미주신경 배측 운동 핵의 신경세포체는 머리, 목, 흉부, 복부에 있는 부교감 신경절로 연결되는 신경섬유를 낸다. 신경절은 지배하는 장기 안에 있거나 가까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평활근, 심장 근, 분비선에 짧은 신경 섬유를 보낸다. 배측 운동핵에서 기시해서 신경절과 연결되는 신경섬유는 절전 섬유이며 신경절로부터 근육이나 분비선까지 연결하는 신경섬유는 절후 신경섬유이다. 미주신경에 들어있는 부교감 신경섬유를 자극하면 심장 심박동수가 저하되고 기관지의 평활 근이 수축하며, 기관지의 점액선을 자극하고, 소화기관의 소화를 초진하고, 위문 괄약근과 항문 괄약근을 이완시키고, 위액 및 췌장액의 분비를 자극한다. 배측 운동신경 핵 기둥의 위쪽 끝부분에는 타액핵에 속하는 신경체가 모여 있다. 이 신경세포가 활성화 되면 침샘에서 침의 분비가 증가한다. 상 타액핵에 있는 신경세포는 중간신경으로 절전 신경 섬유를 보낸다. 교감신경 절전 신경과 뇌신경에 속한 감각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더 굵은 운동성 안면신경 뿌리는 얼굴의 표정에 관련된 근육으로 가는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신경으로 들어간 몇몇 절전 신경섬유들은 익돌 구개 신경절에 종지 한다. 이 부교감 신경절은 누선과 구개, 인두, 비강의 후부에 있는 점액선으로 절후 신경섬유를 보낸다. 중간신경의 다른 절전 신경섬유들은 악하 신경절에서 끝난다. 고립 신경로에 들어있는 미주신경계 신경섬유는 고립핵으로 가지를 낸다. 혀의 미각세포에 있는 특수한 화학작용 수용체에 의해 감지된 미각은 설인 신경과 중간신경의 감각신경 섬유를 통해 미각 신경 절 신경세포로를 거쳐 고립로 상부로 전달된다. 안면신경의 슬상 신경절 안에 있는 미각을 담당하는 세포체는 고삭신경으로 말초 신경돌기를, 그리고 중간신경으로 중심 돌기를 낸다.

'해부학 > 신경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교와 중뇌의 뇌신경  (0) 2022.12.22
미주신경계  (0) 2022.12.22
뇌신경  (0) 2022.12.22
뇌간의 해부학  (0) 2022.12.22
신경계 해부학의 서론  (0) 2022.12.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