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

기능 선 기능선은 몸통 표면을 가로질러 반대쪽 골반과 하지까지 상지 선을 확장한다. 이 선들 중 하나는 몸의 앞부분을 가로지르고, 한 선은 뒷부분을 가로질러 그 결과 좌우 선이 같이 몸통에서 X를 형성한다. 기능 선 그룹에 3번째 선은 동측 기능선으로 어깨에서부터 같은 쪽 무릎의 내측까지 주행한다. 이들 선들은 다른 선처럼 서 있는 자세 조절에 거의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할 목적으로 기능 선이라 부른다. 이 선들은 주로 운동하는 동안이나 한쪽 사지 복합체가 안정화되거나, 상쇄 균형을 이루거나 또는 반대쪽 보상에 의해 힘을 받는 다른 활동을 할 때 바로 작용한다. 한가지 예를 들자면 창던지기 또는 야구공 투구에서처럼 선수가 오른손으로 물건을 던질 때 부가 속도를 더하기 위해 왼쪽 다리와 골반을 통해 힘을 싣는.. 2022. 12. 29.
심부 후방 상지 선 심부 후방 상지선은 제7 경추와 상부 흉추의 극돌기에서 시작하여 능형근으로 뻗어 내려가 견갑골의 내측경계까지 간다. 이 심부 후방 상지 선은 견갑골 주변에서 회전 근개 근육으로 계속되는데, 특히 능형근에서 극하근으로 이어지며 주행 과정에 소원근이 합류된다. 이 두 근육은 관절낭에 인접한 다음 부착점인 상완골 후면 대결절에 고정된다. 심부 후방 상지 선의 또 다른 가지 선은 후두골의 외측 아래 면에 외측두직근으로 시작하여 경추 1-4번 횡돌기의 후결절에서부터 시작하는 견갑 거근으로 이어져 내려온다. 이 선의 원위 부착점은 능형근이 만나는 바로 위 견갑골의 상각 이지만, 이들 근막 섬유는 극상 와에서 상완 골두의 상단으로 가는 견갑골의 윗부분을 따라 주행하는 극상근으로 연결된다. 회전근개의 4번째 근육인 견.. 2022. 12. 28.
상지 선과 하지 선 비교 4개의 상지 선인 표면 후방 선, 표면 전방 선, 외측 선, 심부 전방 선이 다리를 지나는 4개의 선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목했을 것이다. 비록 다리와 팔은 기능적으로 다르지만, 구조적 유사성은 비교할만하고, 그리고 그 결과는 놀랍다. 골격구조에서 팔과 다리 사이에 일치는 명백하다. 상지와 하지 모두 중심축 골격에 인접한 거들 배열은 구상 관절로 이어지고, 상위 사지에는 하나의 뼈, 경첩 관절, 하위 사지에는 2개의 뼈, 외지의 첫 번째 줄은 3개의 뼈, 2번째 줄은 4개의 뼈, 그리고 각각 14개의 뼈로 된 5개의 발가락과 손가락으로 되어있다. 뼈의 유사성 제외하고 근육들 또한 흥미로운 일치를 보인다. 예를 들면 햄스트링은 이두근과 유사하고, 외전근은 종종 고관절의 삼각근으로도 불린다. 이러.. 2022. 12. 27.
상지선 중심축 골격에서부터 어깨의 4개 층을 거쳐 팔의 4분할과 손의 4면, 즉 엄지손가락, 새끼손가락, 손바닥, 손등으로 주행하는 4개의 또렷한 상지선을 확인할 수 있다. 팔은 아주 논리적으로 팔의 앞부분을 따라 심부 선과 표면 선, 팔의 뒷부분을 따라서 심부 선과 표면 선으로 배열되어있다. 팔의 선들은 어깨를 가로지를 때 그들의 배치에 따라 명명되었다. 직립 자세에서 팔은 상부 골격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이들은 기둥과 같은 구조의 일부는 아니다. 그러므로 이전 선들의 논의에서는 하지를 포함했지만. 팔은 별개로 고려하려고 남겨 놓았다. 하지만 무게가 있고 운전과 디지털 기기 사용 같은 일상생활에 다방면으로 연결됨을 감안할 때, 상지 선은 자세 기능들 가지고 있다. 어깨의 위치이상은 갈비뼈, 목, 호흡 기능,.. 2022.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