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0 소뇌 소뇌는 환경에 적절히 반응해서 운동할 수 있도록 근육의 긴장도를 조절하며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소뇌 피질에서 많은 부위를 차지하는 대뇌 소뇌는 운동을 계획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대뇌의 두정엽도 예측, 판단, 비교, 계획 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소뇌에서 대뇌 소뇌도 비슷하다. 소뇌의 가운데 위치하는 소뇌벌레의 소뇌벌레 옆구역은 척수 소뇌로 운동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운동 실행을 위해 균형유지가 필수인데 소뇌타레와 연결되어 있는 전정소뇌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정소뇌는 안구 운동과도 연관있어 눈을 감고 한 발 들고 오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보고 균형감각을 판단할 수도 있다. 소뇌의 역할을 정리해보면 첫번째, 몸 전체 운동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두 번째, 근육의 긴장도를 조절.. 2023. 2. 2. 심부 후방 선 심부 후방 선의 존재 표면 후방 선이 있다면 심부 후방 선도 있어야 한다. 표면 전방선 뿐만 아니라 심부 전방선도 존재한다면 대칭 상 심부 후방 선이 존재해야 한다. 대칭적으로 심부 후방선이 필요하든 안하든 해부학적으로 심부 후방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표면 후방선을 따라 심층의 근 근막으로 분리된 부위들이 있으나 연속성이 없고 좀더 심층부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발의 족저면을 예로 살펴 보자. 발의 족저 면에는 족저근막 보다 더 깊은 곳에 많은 층이 있다. 이 층은 단 지굴근, 발가락의 외전근, 내전근 그리고 연관 근막 뿐만 아니라 족근골 아치 밑에 있는 장 족저 인대와 스프링 인대를 포함 한다. 족저 근막을 아치가 있는 활 시위로 표현 할 수 있다. 일상생활과 스포츠 활동 시에 발의 여러가지 가능한 움.. 2023. 1. 10. 후두하근 가장 심층의 근육인 후두하근은 표면 후방 선 전체를 여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사실 후두직근과 두사근들은 표면후방선의 기능적 중심으로 겨겨지고 있다. 후두직근과 두사근 조직에 분포하는 수많은 스트레치 수용체들, 그리고 두 근육이 안구 운동에서부터 나머지 등 근육들과 협응하도록 연결된 점들이 표면 후방 선의 기능적 중심 기능을 가능하게 보장한다. 이 근육들은 근육조직 1g당 36개의 근방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조적으로 대둔근은 1g당 0.7개의 근방추가 있다. 이 근육들의 연결 상태를 직접 느껴보고 싶으면, 후두골 바로 아래에 양 엄지손가락을 두고 손은 양쪽 머리 위에 올려 놓는다. 엄지손가락으로 표층 근육들을 부드럽게 지나가면 후두융기 아래에 심층 조직들을 느낄수 있다. 눈을 감도록.. 2023. 1. 8. 척추 기립근 근막 척추 기립근이 척추의 후방 곡선을 덮고 있기 때문에, 목과 허리의 척추 전방에 붙어 있는 근육, 인대와 함께 곡선의 깊이를 공동 형성시킨다. 그것을 염두에 두고 우리가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척추 곡선의 깊이이다. 경추 또는 요추에 전만이나 혹은 흉추에 후만이 나타나고 있는가? 극돌기가 범퍼처럼 되로 돌출되었는가? 혹은 둘러싸고 있는 주변 조직위에 능선처럼 형성되어 있지는 않은가? 산처럼 보이는가? 혹은 홈에서 주변 근 근막 조직 아래로 파여 있지는 않은가? 골처럼 파여 있는가? 등 여러 각도로 관잘하라. 척추기립근을 다루는 일반적인 규칙은 산은 쌓아 올리고, 계곡은 파내어라 이며, 기존 통념에 반대로 하면 된다. 근 근막 조직은 돌출된 극돌기에서부터 퍼져서 넓어지고 그런 다음 주변 층에 들러붙는다. .. 2023. 1. 7. 이전 1 2 3 4 ··· 8 다음